강동·송파 부동산, 상속세 완화 vs. 재건축 규제 완화 🍀 누가 웃을까?

더불어민주당은 상속세 공제한도를 기존 10억 원에서 18억 원으로 확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재건축·재개발 특별법을 앞세워 정비사업 속도를 높이려는 전략

강동·송파 부동산 시장,
여야 정책 대결의 최대 수혜지 될까?

최근 정치권이 강동·송파를 비롯한 수도권 중산층을 겨냥한 부동산 정책을 내놓으며 시장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상속세 공제한도를 기존 10억 원에서 18억 원으로 확대하는 법안을 추진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재건축·재개발 특별법을 앞세워 정비사업 속도를 높이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 강동구·송파구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1. 강동·송파, 왜 주목받을까?

서울 부동산 시장에서 강동구와 송파구는 일명 ‘스윙보터 지역’으로 불립니다. 과거 대선과 총선에서도 양당이 적절히 표심을 나눠 가졌는데, 이번 부동산 정책 역시 이 지역 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특히, 상속세 공제 확대가 현실화되면 강동·송파를 비롯한 시세 10억~18억 원대 아파트 보유자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가능성이 큽니다. 현재 서울에서 10억~18억 원대 아파트가 **약 51만7563가구(전체 아파트의 30%)**에 이릅니다. 이 중 강동구는 5만2144가구로 가장 많으며, 송파구(4만9297가구), 성동구(3만8292가구), 동작구(3만8177가구) 순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강동구 대표 아파트 단지인 ‘올림픽파크포레온(구 둔촌주공 재건축)’을 비롯하여 송파구의 ‘헬리오시티’ 등 신축 대단지들이 이러한 정책 변화를 직접적으로 체감할 가능성이 크죠.


2. 상속세 18억 원 공제,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민주당이 추진하는 상속세 공제 확대안이 통과될 경우, 중산층 가구의 부담이 줄어들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상속세 기준이 10억 원인데, 이를 18억 원으로 늘리면 서울 내 10억~18억 원대의 아파트를 보유한 부모가 자녀에게 상속할 때 추가적인 세금 부담 없이 증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됩니다. 이는 특히 다주택자나 고령층 주택 보유자들에게 매력적인 정책으로 다가오겠죠.

이미 강동구 A공인중개사는 “최근 상속세 관련 법안 논의가 나오면서, 강동·송파 일대 신축 아파트나 10억 원대 아파트들에 대한 매수 문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사례 분석

강동구에 거주 중인 70대 김 씨는 최근 초등학교 교사인 아들에게 **올림픽파크포레온 전용 84㎡(시세 약 17억 원)**를 증여하려고 고민 중이었습니다. 기존 공제한도(10억 원)라면 차액 7억 원에 대해 수억 원의 세금을 부담해야 하지만, 공제 한도가 18억 원으로 확대될 경우 세금 없이 아들에게 아파트를 물려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세법 개정이 현실화될 경우 강동·송파를 포함한 서울 주요 지역의 실거주용 주택 보유자들 사이에서 ‘자녀 증여’가 더욱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국민의힘의 재건축·재개발 패스트트랙, 어떤 변화가 있을까?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재건축·재개발 시장의 규제를 완화하는 ‘재건축 패스트트랙’을 추진하며 강남·송파 등 정비사업 추진 지역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주요 변화 예상

  • 재건축 예비 안전진단 폐지 또는 완화
  • 용적률 상향 조정 및 사업 속도 가속화
  • 정비계획 및 사업시행인가 등 동시 추진 가능

대표 사례: 송파구 가락동 ‘헬리오시티’

송파구 가락동의 ‘헬리오시티’는 강남 접근성이 뛰어난 대형 재건축 단지로, 전체 9,510세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매매가가 약세를 보여 왔지만,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 소식이 전해지면서 최근 들어 거래량이 다시 늘고 있다고 합니다.

강남권 아파트 중에서도 ‘50층 재건축’ 가능성이 거론되는 목동, 강남구 개포동 등도 이 패스트트랙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4. 향후 전망: 상속세 vs. 재건축, 누가 더 유리할까?

정리하자면,

  • 상속세 공제 확대(민주당) → 현 주택 보유자의 증여·상속 활성화
  • 재건축·재개발 패스트트랙(국민의힘) → 재건축 단지 투자 및 시장 회복 기대

현재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부 정책이 계속 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정책 변화가 실거래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할지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만, 강동·송파 지역이 정부 및 정치권의 핵심 부동산 거점이 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주택 보유자들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여러분은 상속세 완화를 통한 증여 활성화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재건축 패스트트랙을 통한 부동산 가치 상승이 더 매력적이라고 보시나요? 앞으로 시장의 흐름에 따라 전략적인 선택이 필요해 보입니다.


📢 의견이 궁금합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지타워 매각, 부동산 시장에 던진 미래 신호탄 🏢

세종시 부동산 반등, 기회일까 또 다른 함정일까 🏡

은마의 귀환, 강남 재건축의 심장이 다시 뛴다 🏙️